오늘 포스팅에서는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 2가지와 비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도록 하겠습니다.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비용을 부담하여 대상자들 중 지역가입자와 직장 피부양자에게 주민등록상 주소지 또는 휴대폰 번호로 연락을 하여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거지 변경 등으로 인해 연락을 못 받으신 분들은 자신이 무료 건강검진 대상자인지, 따로 알아보는 방법은 없는지 궁금하실 거예요. 그래서 오늘의 포스팅에서는 이런 부분까지 같이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 꿀팁 알아보기
건강검진 대상자 조건
1. 세대원·피부양자
2021년 기준 만20세 이상 홀수 연도 출생자
2. 직장가입자
사무직의 경우 매년 1회
비사무직의 경우 2년마다 1회
3. 의료급여 수급자
2021년 기준 만19세~64세 이상 홀수 연도 출생자
결론
년도의 끝자리 수가 홀수인 경우는 출생년도가 홀수인 분들이 건강검진 대상
년도의 끝자리 수가 짝수인 경우는 출생년도가 짝수인 분들이 건강검진 대상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
건강검진 대상자들은 앞서 말씀드린 대로 우편 또는 휴대폰 번호로 검진표와 안내문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소지 변경 등의 이유로 연락을 받지 못하신 분은 아래의 방법으로 건강검진 대상자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 요약
> 전화를 통한 검진 대상자 확인서 신청
☎ 1577-1000 전화 후 신청
> 사이트를 통한 조회
1. 국민건강보험공단 접속
2. 로그인
3.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4. 조회결과 확인하기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 사진 설명

1. 국민건강보험공단 접속 후 로그인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접속 후 공동인증서, 카톡 등 로그인해주세요.
※ The건강보험앱에서도 가능

2. 건강검진 대상조회
로그인을 하셨다면 홈페이지 메인의 건강검진 대상조회를 눌러주시면 본인의 건강검진 대상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검진대상 조회결과
일반검진, 구강검진, 암 검진까지 현재 자신이 받을 수 있는 검진 결과가 쫘르륵 뜨게 됩니다.
건강검진 검사 항목
건강검진 검사 항목에는 공통 검사, 암검진, 성별·연령별 검사 항목이 있습니다.
> 공통 검사항목
1. 신장, 체중, 혈압측정, 시력, 청력 검사 등 기본적인 검사
2. 구강검진
3. 혈액 내 콜레스테롤, 요단백 등 검사
4. 간수치
5. 흉부방사선촬영
6. 공복혈당 수치
> 암검진 검사항목
1. 위암: 만40세 이상 남녀, 본인 10% 부담
2. 대장암: 만50세 이상 남녀, 무료
3. 간암: 만40세이상 남녀, 본인 10% 부담
4. 유방암: 만40세이상 여성, 본인 10% 부담
5. 자궁경부암: 만20세이상 여성, 무료
6. 폐암: 만54세~74세 이상 남녀, 본인 10% 부담
> 성별·연령별 검사항목
1. 이상지질혈증 검사(콜레스테롤 등)
남자는 만24세 이상, 여자는 만40세 이상, 4년주기로 검사가 가능합니다.
(예시: 남자 만24세, 만28세 / 여자: 만40세, 만44세···)
2. B형간염검사·치면세균막검사
만 40세 이상일 경우 검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3. 골다공증 검사
만54세, 66세 여성을 대상으로 검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정신건강검사(우울증)
만20세, 만30세, 만40세···만70세 해당연령 시작으로 10년 주기로 1회씩 받으실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전 유의사항
1. 검진 전날 저녁 9시 이후는 금식
2. 검진 당일 아침 식사 불가, 물, 담배, 껌도 일체 불가
3. 되도록 오전 중 검진받고, 오후 검진받으실 분은 검사 전 최소 8시간 공복상태 유지